안녕하세요. Kimkisa's입니다. 오늘은 오랫만에 이웃님께서 질문해주신 미디건반의 색상을 무지개 색으로 만들고 싶다는 다소 황당한(?) 의견이 있었기에 이것을 해결한 테크니컬 서포트의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Q. 제가 사용중인 Artur...
안녕하세요. Kimkisa's입니다.
오늘은 오랫만에 이웃님께서 질문해주신 미디건반의 색상을 무지개 색으로 만들고 싶다는 다소 황당한(?) 의견이 있었기에 이것을 해결한 테크니컬 서포트의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Q. 제가 사용중인 Arturia MiniLab3 미디건반의 드럼 패드가 8개 있는데, 무지개 색상으로 바꾸고 싶습니다. 왜냐면 이번 4월 학교 축제때 공연을 하기 때문인데요. 혹시 전문 튜닝샵 같은데서 해야 하나요? 아니면 혼자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from 미니랩3 사용하시는 이웃님의 질문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 MIDI Control Center 실행 및 패드 색상 설정
- 2. 미디건반의 내장 메모리에 덤프
- 3. 미디건반의 패드의 색상 확인 - Prog 변경 (Shift + Pad3)
지금부터 상세한 내용을 시작할께요.
MIDI Control Center 실행 및 패드 색상 설정
우선 미디건반을 컴퓨터랑 연결을 하셔야 하는데요.
그리고 미디건반 제조사 홈피에서 제품등록 및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및 설치합니다.
그 중에서 MIDI Control Center를 설치하시면 되는데요.
이 MIDI Control Center(MCC)는 쉽게 말하자면 미디건반 관리자 프로그램입니다.
이곳에서 Pad1부터 Pad8까지 각각 선택하고 아래쪽의 Color 값을 변경하면 되는데요.
참고로 무지개 색은 7가지 색상이며, 일반적으로 빨주노초파남보 입니다.
색상의 레퍼런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MCC에는 색상값을 설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팔레트에서 선택하는 방식이기에 최대한 가까운 색으로 선택하세요.
패드 옵션 설정
이렇게 Pad 8까지 각각 Color를 선택했다면, 드럼 패드와 관련된 몇 가지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뭐 색이랑은 관련성이 없지만서도 해 놓으면 유용한 기능입니다.
상단의 DEVICE SETTINGS 메뉴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넘어가는데요.
이곳에서 Low Power를 Off로 설정합니다. (상단 동그라미)
Low Power를 On으로 하면 저전력 모드가 발동해서 패드 밝기가 어두워집니다.
Off를 하면 저전력 모드를 끔으로 해서 패드가 아주 샤방하게 밝고 색이 또렷해져요.
그리고 아래쪽 Pad Velocity 설정을 Fixed로 설정합니다. (아래쪽 동그라미)
그리고 표시된 Fixed Velocity 값을 0 ~ 127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 120으로 설정했습니다.
이 말인즉슨 패드를 누르는 세기와 상관없이 항상 Velocity 값 120으로 연주한다는 의미입니다.
템플릿 저장, 미디건반 메모리에 저장
여기까지 설정했다면, 왼쪽의 LOCAL TEMPLATES에 Default가 아닌 자신만의 이름으로 설정을 저장할 수 있는데요.
아래쪽 Save As... 버튼을 클릭해서 이름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 이름을 작성해서 설정을 저장하는 개념인데요. 나중에 미디건반의 액정에 저장한 이름이 표시되니까 너무 야한(?) 이름을 하지 마시고 점잖은 이름으로 하시면 좋겠습니다.
여기선 RAINBOW로 작성했네요. 이제 Store To 버튼을 클릭하면 방금 설정했던 템플릿이 미디건반에 내장된 메모리 칩셋으로 전송되는데요.
참고로 미디건반의 메모리 칩엔 6개의 유저 프리셋을 저장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User1에 방금 저장한 RAINBOW 템플릿을 덮어쓰게 되는 원리입니다.
미디건반에서 Prog 변경 (Shift + Pad3)
기본적으로 미디건반은 자체 디폴트 설정, DAW용 설정이 있으며 User 1 ~ 6까지 설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미디 건반의 Shift 버튼을 누른 채로 Pad 3을 눌러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이 무지개 색상의 드럼패드가 완성됩니다.
동영상으로 정리
위 내용을 바탕으로 상세한 내용을 동영상으로 만들었습니다.
COMMENTS